국민투자라고 하는 ELS,, 재테크 초보인 나는
이제서야 알아보게 되었지만.
연 100조에 가까운 자금이 몰려 있을 만큼
거대한 투자처였다.
원금손실을 보장하고 연 4~5% 에서 10% 대 까지의 이자 수익을 받을 수 있다고 하여,
이런 것이 있나? 하고 열심히 찾아 보았지만,,,
기대한 것 보다는,, 원금 보장은 커녕 큰 손실을 가져 올수도 있는 상품 이었다.
ELS란?
주가 연계 파생 결합 증권으로,
주식이나 지수에 투자한다
주가지수에 따라서 수익이 나는 것은 아니고,
특정한 지수나 주식가격이 일정기간 동안 정해 놓은 범위안에 있으면 약속한 이자를 지급하는 독특한 방식이다.
보통 2~3개의 지수를 혼합한 ELS나 또는 특정 주식을 몇개 씩 묶어놓은 ELS 등 이 있다.
또한, ELS가 주식이나 지수에 투자한다면,
DLS는 원유, 금, 환율, 금리 등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섣불리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수익구조는 여러가지 상품이 있지만,,
대표적인 구조의 상품을 예로 들면
3년 만기 상품의 경우, 6개월 마다 지수 평가를 하고, 이때 정해놓은 주가에 도달하면,
확정수익을 지급하며 조기상환 되는 방식이다.
만약 정해놓은 주가에 도달이 안된다면 3년까지 지속되고, 만기시에 평가를 하게 된다.
원금만 보장 된다면 확실히 메리트 있는 구조이지만, 여기서 함정이 있다.
대부분의 상품에 낙인(Nock in)이라는 것이
지정되어 있는데,
이 낙인은 50%, 55% 등으로 정해져 있고,,
내가 보유한 시점에,
만약 내 상품 지수의 한가지 라도 이 낙인 지수에 닿거나 최저점 이하로 내려 간다면,,,
수익 이자는 커녕,
내 원금도 그 만큼 손실이 난다는 것이다.
뭔가 듣고 보니 게임이나 도박 같은 느낌이 들었다.
설마 내 상품이 최저점은 찍지 않겠지 하며, 3년을 버텨야 하는 게임...
노낙인 상품도 있긴 하지만, 안정성이 높은 만큼 확정수익률은 적다.
ELS가 원금 손실 위험이 있어 어렵다면
ELB라는 진짜 원금 손실을 보장해주는
안전한 상품도 있었다.
ELB란? 주가연계 파생 결합 사채 이며,
만기시에 상승이나 하락이 정한 범위내에서 끝나면 약속된 수입을 지급해 주는 방식이다.
다만 ELB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봐도 기대수익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이 함정이다.
즉, 정해진 범위내에 들어갈 확률이 애초부터 적은 게임이라는 것이다.
ELS, ELB 는 증권사에서 팔고 있으며
상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매주 새로운 상품에 대한
공모청약을 진행하고 있을 만큼..
그러나 증권사 발행 상품으로
당연히 예금자 보호는 불가능 하다.
ELS를 살펴본 나의 생각은..
ELS는 상품에 따라 지수가 많이 빠지면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불안한 요즘 같은 시장에서는 위험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보면 오히려 기회 일수도,,
왜냐면 고점에서 들어가면
주식이 확 빠질 확률이 높지만, 지금 어차피 저점이니 확 빠질 확률 적다고 보면...
그치만 그건 아무도 예상할 수 없는 일이기에 어렵다.
차라리 2008년 이후 약 10년간
박스피에 갇힌 우리나라 코스피의 경우
ELS를 하기 딱 좋은 환경 이었다고 한다.
그렇게 듣고 보니 잘 이해가 간다.
그리고 손실에 비해서 얻을 수 있는 이자수익은 4~5% 정도로
그 손실을 감당하면서 까지 투자할 만큼의 메리트가 없다는 것이 최대 단점 인 듯 하다.
ELS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첫째. 좋은 상품 찾기 (안정적이면서도, 이자수익도 납득이 가는)
둘째. 시기를 잘 찾아 들어가기 (내가 고른 상품의 적정한 시기가 맞는지..)
ELS에는 정말 다양한 종류의 상품이 있고,
그 구조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공부를 탄탄히 하고 상품 조사를 많이 해서
안정적인 상품에 소액으로 먼저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ELS가 조기 상환 때문에 몇번해서 수익을 보면, 중독처럼 더 높은 배팅을 할 가능성이 많아지는 점도 주의하자..
지금같이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때에, 조금 욕심을 더 부리다가 원금까지 잃을 수도 있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재테크 투자 공부5) 미국 ETF 투자 (SPY,SPYG, QQQ) (0) | 2020.06.08 |
---|---|
(초보 재테크 투자공부 4)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 (0) | 2020.06.06 |
환율투자, 환투자 (달러투자, 환테크) 방법 (0) | 2020.06.03 |
초보 재테크 투자공부 2) 환율과 경기, 물가, 재테크에 관하여 (0) | 2020.06.02 |
미국ETF 국내 투자(국내상장 해외 ETF) VS 미국ETF 미국투자(해외상장 해외 ETF)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