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IRP퇴직연금 은행? 증권사? 어디가 좋을까?

반응형

 

IRP퇴직연금에 가입하려고 계획 했는데,, 이렇게 또 여러가지 상품이 있는 줄 몰랐다 ㅜㅜ

재테크의 길은 멀고도 험하다.

일단은 어떤 금융기관에서 들면 좋을지의 정보를 먼저 찾아본다.

IRP퇴직연금을 연금으로 수령할 계획이라면 은행보다는 증권사 가입을 대부분 추천하고 있다.

금융기관에 따라 연금수령 및 운용방법, 연금수령금액, 수수료 등이 다르기 때문인데

은행보다는 증권사가 여러모로 조건이 좋기 때문인 것 같다.

 

 

<연금수령 방법>

은행: 수시 변경 불가 / 증권사: 수시 변경 가능

 

<연금수령 기간과 금액>

은행: 신청시에 수령기간과 지급받는 금액이 확정

증권사: 연금 신청시 수시출금 가능

IRP 퇴직연금은 묶여 있는 돈이기 때문에 이부분에서도 증권사가 매력 있다.

 

<운용수수료>

은행:  0.4% 전후 

증권사: 최저 0.2% 부터 시작으로 보통 0.3%

 

<상품종류>

은행: 상품을 가입하면 대부분 예금에 넣어주는 경우가 많음, 원리금 보장형

증권사: 저축은행 고금리 예금. 주식형편드. ETF,  채권형 펀드 다 넣을 수 있음

그렇다고 증권사에서 위험부담이 큰 투자 상품만 있는 것은 아니다.

원리금 보장상환 100% 상품으로 하면 안전하게 퇴직연금 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증권사에서는 실적배당형 상품을 통해 개별 주식과 레버리지·인버스 ETF를 제외한 대부분 펀드와 ETF에 투자할 수 있다. ETF, 주가연계증권(ELS) 등 파생상품에도 투자할 수 있어 고수익을 추구할 수 있고, 고객이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는 상품의 폭이 다양하다. 

나 또한 ETF에 투자하고자 증권사 IRP퇴직연금 계좌를 개설하고자 한다.

 

 

IRP퇴직연금과 연금저축 궁금하시다면 참고하세요~

sohani.tistory.com/77

 

irp퇴직연금 장단점 (자영업자 가입)

노후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많은 분들이 미리 노후에 대비 하고자 하는 것 같다. 얼마전 유튜브에 강창희 대표님이 나와서 예전엔 연금강의 하면 거의 노인분들이었는데, 요즘은 젊은 사

sohani.tistory.com


sohani.tistory.com/78

 

연금저축 IRP 비교 및 장단점

일전에 IRP(개인형 퇴직연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연금저축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 해 보기로 했다. 같은 듯 다른 듯 어떤 비율로 조절해야 할지도 확인할 겸.. 먼저, 두계좌는 거의 같은

sohani.tistory.com

 

증권사의 IRP가 이렇게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초저금리와 증시활항도 한 몫 하고 있다.

낮은 금리의 은행 개인 퇴직연금 자금이 조금 위험을 감수해도 수익률이 좋은 증권사로 이동하고 있다.

 

연금 개미들이 많이 보유한 ETF자료가 흥미롭다.

나도 IRP를 개설하면 ETF로 가지고 있을 생각이다. 

지수와 섹터 테마 등 다채롭게 투자 할 수 있는 것이 매력적인 것 같다.

그리고 ETF는 장기 보유 하기에 위험 부담도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출처- 한경 닷컴

미국 FANG이나 2차전지 테마, 중국 지수 투자를 고려해 본다.

또는 한국 KODEX 200 투자 등.

이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니,, 알아보고 투자하면 좋겠다.

 

IRP는 주식형 70%, 채권,예금 30%라서 

70%를 ETF에 투자해도 위험부담은 느끼지 않을 것 같다.

 

또한 장기 투자 연금저축이니,, 작은 비중으로 시작하고,

연금저축 펀드와 IRP의 장단점을 확인한 후에 비율을 조절해야 겠다.

(연금저축과 IRP를 몇대 몇 비율로 넣으면 좋을지;;; 하나에 몰빵해야 하나.. 잘 모르겄다;;)

 

또한, 유의할 점은

증권사 IRP중에서도 ETF에 투자 할 수 없는 증권사도 있다고 하니

그 부분은 확인해 보고 수수료가 싼 곳으로 증권사를 골라야 겠다.

 

아래는 미래에셋 대우 IRP상품 검색 창이다.

증권사 IRP상품 검색은 처음 들어가 보는데, 꽤 다양하게 검색이 가능하다~!

 

 

 

 

 

 

 

 

 

 

반응형